본문 바로가기
방송정보

왜 사랑하면 바보가 될까? EBS 취미는 과학 36화 인간 행동의 비밀을 파헤치다

by hiblogmaster 2025. 6. 5.
반응형

왜 사랑하면 바보가 될까? EBS 취미는 과학 36화 인간 행동의 비밀을 파헤치다

 

 

 

EBS ‘취미는 과학’ 36화에서는 “인간은 왜 이럴까?”를 주제로, 후회·사랑·뒷담화 등 인간의 복잡한 감정과 행동의 과학적 이유를 밝힌다. 데프콘의 다이어트 실패 고백부터 인간 심리의 비밀까지, 재미와 지식을 모두 잡은 토크쇼가 펼쳐진다.

 

금요일 밤, 하루를 마무리하며 무심코 EBS1을 틀었다가 뜻밖의 몰입을 경험했다. '취미는 과학' 36화는 ‘인간은 왜 이럴까?’라는 질문으로 출발해, 우리가 늘 품고 있던 의문을 놀라울 만큼 유쾌하게 풀어냈다.

 

출연진은 든든했다. MC 데프콘, 과학 커뮤니케이터 항성, 성균관대 이대한 교수, 광운대 장홍제 교수, 그리고 뇌과학자 우충완 교수까지. 이 조합만으로도 기대를 모았고, 실제로 방송은 기대 이상이었다.

 

 

 

특히 데프콘이 “나는 왜 항상 다이어트를 내일부터 하게 되는 걸까?”라며 자신의 현실적인 고민을 털어놓는 장면이 인상 깊었다. 나 역시 몇 번의 다이어트 실패 끝에 결국 "내일부터"를 입에 달고 사는 중이다.

 

이에 우충완 교수는 “그건 당신의 의지가 약해서가 아니라, 인간 뇌의 고유한 특성 때문”이라며 뇌의 보상 체계와 미래 예측 시스템을 과학적으로 설명했다. 의지력조차 생물학적 영향 아래 있다는 사실은 큰 충격이었다.

 

이날 방송은 단순히 다이어트나 후회에 그치지 않았다. ‘왜 사람은 사랑에 빠지면 바보가 되는가?’ ‘왜 뒷담화를 하게 되는가?’라는 가벼우면서도 본질적인 질문들이 이어졌다. 특히 사랑에 관한 설명은 인상 깊었다.

 

 

 

우충완 교수는 “사랑은 뇌에서 분비되는 도파민, 옥시토신, 세로토닌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조합”이라며, 우리가 말하는 ‘사랑의 감정’은 사실 생물학적 반응이라는 점을 설명했다. 나는 순간, 과거 한 사람에게 빠져 모든 이성을 잃었던 나의 모습이 떠올라 쓴웃음을 지었다.

 

이대한 교수와 장홍제 교수는 뒷담화와 후회의 과학도 흥미롭게 풀어냈다. “인간은 왜 쉽게 후회하는가?”에 대한 답은 ‘선택의 자유’가 많아질수록 뇌가 비교를 멈추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설명.

나 역시 온라인 쇼핑할 때 장바구니를 수십 개 채워놓고 망설이던 일이 떠올랐다. 결국 뭘 사도 후회하는 이유는 ‘선택 피로’ 때문이라는 걸, 이 방송을 통해 깨달았다.

 

 

 

또 하나 놀라운 건, 인간의 뒷담화 본능이다. “왜 우리는 남을 몰래 이야기할까?”라는 데프콘의 질문에 항성은 “뒷담화는 집단 내부의 결속을 위한 진화적 생존 전략”이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나는 이 말을 듣고, 직장에서 회의 후 동료들과 나누는 짧은 수다조차 단순한 뒷담화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관계의 윤활유로서 ‘비공식 대화’는 오히려 사회적 유대를 강화한다는 설명은 꽤 설득력이 있었다.

 

무엇보다 인상 깊었던 건, 이 모든 이야기가 ‘과학’이라는 프레임 안에서 진행됐다는 점이다. 우리는 흔히 과학을 수식과 공식, 실험실의 냄새로만 생각하지만, ‘취미는 과학’은 이를 뒤집는다.

 

 

 

‘인간이 인간다워지는 이유’, 그 모든 것을 과학의 언어로 해석할 수 있다는 건 일종의 안도감이었다. 내가 하는 후회, 내가 품는 감정, 내가 빠지는 사랑도 그저 이상하거나 창피한 일이 아닌, 자연스럽고 설명 가능한 현상임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방송을 본 뒤, 나는 과학에 대한 시선이 확 바뀌었다. 중고등학생 시절 과학을 포기했던 기억이 있는 나지만, ‘이런 과학’이라면 다시 취미로 삼고 싶을 정도였다.

 

매주 금요일 밤 10시 50분, ‘취미는 과학’은 단지 지식 전달이 아닌, 스스로를 돌아보게 하는 시간이었다. 인간이라는 미지의 존재를 해부하는 이 기차 여행, 다음 화도 놓치지 않고 볼 생각이다.

 

 

 

 

#취미는과학

#데프콘과학토크쇼

#EBS교양프로그램

#인간은왜이럴까

#뇌과학다이어트

#사랑의과학

#뒷담화의과학적이유

#우충완교수

#이대한장홍제교수

#항성과학커뮤니케이터

 

반응형

댓글